탄소중립, 선택이 아닌 필수
홍수, 가뭄, 폭염, 폭설, 태풍, 산불 등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는 지금 우리는 기후 위기 시대에 살고 있다, 출처: 픽사베이
우리는 지금 기후위기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. 지난여름만 해도 전 세계는 각종 기상재해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. 독일, 벨기에 등지에서는 백 년 만의 기록적인 폭우로 200명 이상의 사상자와 이재민이 발생했습니다. 캐나다는 역대 최고 온도 기록을 경신하는 등 폭염이 지속되었습니다. 아시다시 피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었죠. 비단 최근 한두 해만의 일도 아닙니다. 1970년대 이후 폭염의 발생 빈도와 그 지속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니까요. 2018년에는 역대 최장기간의 폭염을 기록했고, 2020년에는 중부지방과 제주에 역대 최장기간 장마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. 이처럼 해마다 기상현상의 기록 경신이 이어져 이제는 오히려 이런 일들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상황까지 온 것 같습니다.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에서 기상재해로 20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고 약 12조 원에 이르는 경제적 손실을 기록한 가운데,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는 향후 이보다 더욱 늘어날 것은 자명해 보이니까요.
탄소중립이란?

출처: 픽사베이
기후변화의 심각성과 그에 대한 대응의 시급성이 커지면서 2050년에 모든 나라가 넷 제로, 즉 탄소중립을 이뤄내는 것은 이제 이 세기 최우선의 목표가 되었습니다. 이제는 하루가 멀다 하고 환경 이슈 뉴스에서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‘탄소중립(Carbon Neutral)’, ‘넷 제로’는 과연 무엇일까요?
탄소중립은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더 이상 증가되지 않도록 배출한 만큼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이산화탄소 순 배출량을 ‘0’으로 만든다는 개념입니다 [1].